파이썬은 다양한 자료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리스트와 함께 많이 사용되는 자료형 중 하나가 튜플(Tuple)입니다. 튜플은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한 번 생성된 후에는 변경할 수 없는 불변 자료형으로, 다양한 상황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의 튜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튜플(Tuple)이란
튜플은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순서가 있는 값의 집합으로, 여러 개의 값을 담을 수 있는 자료형입니다. 하지만 리스트와는 다르게 불변 자료형이므로 한 번 생성되면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없습니다. 튜플은 소괄호(( ))로 값을 묶어서 표현하며, 각 값을 쉼표(,)로 구분합니다.
튜플을 생성하는 방법
파이썬에서 튜플을 생성하는 방법을 몇가지, 아래 예시 코드를 보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소괄호(( ))를 이용한 방법
- 빈 튜플 생성
tpl1 = ()
print(type(tpl1)) # <class 'tuple'>
print(tpl1) # ()
- 기본 튜플 생성
tpl2 = (1, 2, 3, 4, 5)
print(tpl2) # (1, 2, 3, 4, 5)
2. tuple()을 이용한 방법
lst = [1, 2, 3, 4, 5]
tpl = tuple(lst)
print(tpl) # (1, 2, 3, 4, 5)
3. 값의 나열로 생성하는 방법
tpl = 1, 2, 3, 4, 5
print(tpl) # (1, 2, 3, 4, 5)
인덱싱과 슬라이싱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튜플 또한 순서대로 번호(인덱스)를 가지고 있으며, 이 번호를 사용하여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특정 값을 추출할 수도 있습니다.
1. 인덱싱
tpl = ('apple', 'banana', 'cherry', 'orange')
# 첫 번째 요소에 접근
print(tpl[0]) # 'apple'
# 세 번째 요소에 접근
print(tpl[2]) # 'cherry'
# 마지막 요소에 접근
print(tpl[-1]) # 'orange'
2. 슬라이싱
tpl = ('apple', 'banana', 'cherry', 'orange')
# 두 번째 요소부터 세 번째 요소까지 슬라이싱
print(tpl[1:3]) # ('banana', 'cherry')
# 첫 번째 요소부터 끝에서 두 번째 요소까지 슬라이싱
print(tpl[:-2]) # ('apple', 'banana')
# 끝에서 두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슬라이싱
print(tpl[-2:]) # ('cherry', 'orange')
수정과 삭제
튜플 또한 인덱스를 통해 튜플의 특정 요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에서 설명했듯이 튜플의 경우 불변 자료형으로, 한 번 생성되면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없습니다.
1. 튜플의 요소 수정
tpl = ('apple', 'banana', 'cherry', 'orange')
# 두번째 요소를 'kiwi'로 수정
tpl[1] = 'kiwi'
#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 File ".\test.py", line 4, in <module>
# tpl[1] = 'kiwi'
# TypeError: 'tuple'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2. 튜플의 요소 삭제
tpl = ('apple', 'banana', 'cherry', 'orange')
# 세번째 요소를 삭제
del tpl[2]
#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 File ".\test.py", line 4, in <module>
# del tpl[2]
# TypeError: 'tuple' object doesn't support item deletion
연산
리스트와 마찬가지로 튜플에서도 다양한 연산을 지원합니다. 아래는 튜플의 연산에 대한 몇 가지 예시 코드입니다.
1. 튜플 합치기
2개 이상의 튜플을 `+` 기호를 사용하여 합칠 수 있습니다.
tpl1 = (1, 2, 3)
tpl2 = (4, 5, 6)
tpl = tpl1 + tpl2
print(tpl) # (1, 2, 3, 4, 5, 6)
2. 튜플 반복하기
튜플을 여러 번 반복하여 새로운 튜플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기호를 사용하여 반복합니다.
tpl = (1, 2, 3)
new_tpl = tpl * 3
print(new_tpl) # (1, 2, 3, 1, 2, 3, 1, 2, 3)
3. 튜플 길이 구하기
len() 함수를 이용하여 튜플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tpl = (1, 2, 3)
print(len(tpl)) # 3
4. 튜플 요소의 포함 여부
튜플에 특정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tpl = (1, 2, 3)
print(2 in tpl) # True
print(4 in tpl) # False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의 튜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튜플은 값의 변경이 불가능하고, 리스트와는 달리 소괄호를 사용하여 생성합니다.
파이썬에서는 리스트와 튜플 이외에도 다양한 자료형이 존재하며, 적절한 자료형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Python] 리스트(List) 자료형
파이썬은 다양한 자료형을 지원하며, 그 중 리스트(List)는 자주 사용되는 자료형 중 하나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의 리스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리스트(List)란? 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dev-records.tistory.com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딕셔너리(Dictionary) 자료형 (0) | 2023.05.08 |
---|---|
[Python] 집합(Set) 자료형 (0) | 2023.05.02 |
[Python] 리스트(List) 자료형 (0) | 2023.04.30 |
[Python] append()와 extend(), insert() (0) | 2023.04.29 |
[Python] 리스트(List) 정렬하기 (feat. sort(), sorted()) (1) | 2023.04.26 |
댓글